최근 국내 주요 택배업체들이 연이어 택배비를 인상한 가운데, 편의점 업계 역시 가격 조정에 나서고 있다. GS25가 이달 초부터 ‘반값 택배’의 요금을 올린 데 이어, CU 또한 다음 달 1일부터 ‘끼리택배’의 가격을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개인 간 거래에서 주로 이용되던 저렴한 편의점 택배 서비스마저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CU, ‘끼리택배’ 가격 인상 결정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20일 공지를 통해 자사의 자체 물류망을 활용한 ‘끼리택배’ 서비스의 요금을 다음 달 1일부터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번 가격 조정에 따라 500g 이하의 초소형 택배는 기존 1600원에서 1800원으로 200원(12.5%) 인상된다. 500g 초과1㎏ 이하의 택배 요금은 1800원에서 2100원으로 300원(16.7%) 올랐다. 또한, 1㎏ 초과5㎏ 이하 구간은 기존 2400원에서 2700원으로 300원(12.5%) 상승하게 된다.
BGF리테일 측은 “최근 유류비 및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며 “소비자 부담을 고려해 500g 초과~1㎏ 이하 요금은 경쟁사 대비 100원 낮게 책정했다”고 설명했다. CU가 편의점 물류 차량을 이용해 운영하는 ‘끼리택배’의 가격을 조정한 것은 2020년 서비스 도입 이후 처음이다.
급성장하는 ‘끼리택배’, 가격 인상이 미칠 영향
CU의 ‘끼리택배’는 도입 이후 꾸준히 성장해왔다. 2020년 서비스 첫해에는 전체 CU 택배 이용량 중 1.8%의 비중을 차지했으나, 2021년에는 8.2%, 지난해에는 15.8%까지 증가했다. 일반 택배보다 배송 소요 시간이 1~2일 더 걸리지만, 저렴한 요금과 24시간 접수 가능 등의 장점 덕분에 개인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졌다.
그러나 이번 가격 인상으로 인해 이용자들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고 거래와 같이 소형 물품을 자주 거래하는 소비자들에게는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윤 모 씨(43)는 “택배업체들의 가격 인상은 이해하지만, 편의점 택배까지 연이어 요금이 오르니 부담이 된다”며 “특히 중고거래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편의점 업계의 택배비 인상, 소비자 대응은?
GS25의 ‘반값 택배’에 이어 CU의 ‘끼리택배’까지 가격 인상을 단행하면서, 다른 편의점 택배 서비스의 요금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반 택배사들이 이미 가격 인상을 마친 상황에서, 저렴한 대안으로 여겨졌던 편의점 택배의 인상은 소비자들에게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소비자들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가격 비교를 더욱 철저히 하거나, 택배를 이용하는 빈도를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부 소비자들은 대면 거래를 늘리거나 지역 커뮤니티를 활용한 직접 배송 방식을 고려하는 등 다양한 대안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택배 요금 인상이 지속될 경우, 소비자뿐만 아니라 중소형 온라인 판매업체들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향후 편의점 택배 서비스가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