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의 인기가 뜨겁습니다.
사용자가 한 달에 1억 명을 넘어섰고, 온라인에는 챗GPT 활용법을 알려준다는 글과 영상이 넘쳐납니다.
최근엔 더 빨리 답을 받는, 한 달에 2만 5천 원정도 하는 유료 상품도 나왔는데 출시 사흘 만에 100만 명 넘게 가입했습니다.
이런 AI 시장은 앞으로 5년 안에 5배는 더 성장할 거란 전망이 나오고, 우리 기업들도 주도권 경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정신건강 전문의의 논문과 연구 자료를 학습한 국내 인공지능입니다.
‘아이가 욕심이 많다’는 고민으로 육아 상담을 해봤습니다.
대면 상담처럼 아이의 행동 특성 등을 물으며 대화를 주고받더니 해법을 제시합니다.
[“나누고 양보할 때 느끼는 감정적 만족감과 흐뭇함을 실제로 경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하는 대화도 가능합니다.
[“오늘 컨디션이 좋으셔서 저도 기분이 좋아요.”]
긴 대화 내용을 한 줄로 요약해 내고, 우리말 문맥을 파악해 기쁨과 슬픔 등 감정 표현을 읽어내기 때문에 가능한 기술로, 올 상반기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서영경/KT 초거대 AI 개발 담당 : “다양한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답변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감정을 잘 파악해서 답변을 하는 것이 중요하고, 좀 더 친근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서….”]
‘챗GPT’에서 인간의 신경세포에 해당하는 매개변수는 1750억 개.
네이버와 카카오, 주요 통신사 등 국내 업체들도 이에 뒤지지 않는 규모로 올해 초거대 AI를 출시하거나 고도화한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챗GPT’의 약점으로 꼽히는 한국어와 최신 데이터 부족 등을 국내 시장에 맞게 공략한다면 경쟁력이 있다는 계산입니다.
[문형남/숙명여대 교수/한국AI교육협회 회장 : “챗GPT가 신뢰성에 상당히 문제가 있고, 기존에 나와 있던 문제점들을 잘 발견해서 신뢰성을 더 담보할 수 있도록 보강하고 윤리적인 부분도 잘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초거대 AI를 가동하려면 데이터센터 구축 등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국내 시장 수요를 넘어 글로벌 기업들의 AI에 맞설 만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는 게 풀어야할 숙제입니다.